Agribusiness 특강 - 14
![](https://static.wixstatic.com/media/8418d9_e92b2bdd725d4b6a925a3741e3f9487f~mv2.png/v1/fill/w_980,h_528,al_c,q_90,usm_0.66_1.00_0.01,enc_auto/8418d9_e92b2bdd725d4b6a925a3741e3f9487f~mv2.png)
4.3. 매출총이익 분석 및 예측 방법
매출총이익을 분석하는 흐름은 현금흐름예측을 위한 방법과 유사하다. 하지만, 분석은 현금흐름분석보다 미시적인 분석이라 볼 수 있다. 현금흐름분석 및 예측이 농산물 생산과 그에 따른 이익에 대한 전반적인 흐름에 대한 예측을 위한 분석이었다면, 매출총이익은 위와 같이 생산작물 개별에 대한 예상이익을 추정하는 과정이며, 매출총이익 분석은 현금흐름분석 중 매출과 관련한 부분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예측하는 과정이다.
![](https://static.wixstatic.com/media/8418d9_c9d08a09e6bb454e99441e8a349b2654~mv2.png/v1/fill/w_401,h_594,al_c,q_85,enc_auto/8418d9_c9d08a09e6bb454e99441e8a349b2654~mv2.png)
4.3.1. 생산프로세스 정의 및 기초데이터 가정
생산프로세스에 대한 내용은 이미 현금흐름예측에서 한번 다루었다. 생산에 필요한 활동과 이와 연계된 비용의 산출은 어느 사업분야건 이익과 연결되는 항목이다. 이제 △△농장은 기존 오로지 밀만 생산하던 프로세스에서 이제 옥수수와 당근 생산에 필요한 구체적인 활동과 연관된 비용을 산출해야 한다. 따라서, 비용과 관련된 각종 기초데이터를 수집하고 정리를 하여 수시로 확인 가능하고 변경된 가격 정보나 관련 데이터에 대한 업데이트가 가능토록 해야 한다. 뉴질랜드 호티컬쳐(Horticulture) 생산사업에서 주로 쓰이는 매출총이익 분석 사례를 통해 보다 쉽게 접근하도록 한다. 아래에 소개되는 사례와 방법을 똑같이 활용할 이유는 없다. 오히려, 뉴질랜드 Agribusiness에서 사용하는 방식을 각 농장의 환경과 분석자의 개인적인 역량을 포함시켜 보다 개선된 분석도구를 개발하여 많은 사람들과 공유할 수 있다면 이것이야 말로 가장 큰 발전을 우리가 함께 누릴 수 있을 것이다.
먼저, 밀(Wheat) 생산시 기대 가능한 총이익을 1ha단위로 추정토록 한다.
각종 수식과 계산이 필요한 경우는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마이크로소프트 엑셀이나 한글과 컴퓨터의 한셀과 같은 스프레드시트(Spread Sheet)를 이용하면 업무의 효율과 정확성 측면에서 많은 도움이 된다.
![](https://static.wixstatic.com/media/8418d9_d00cbad1d09245b1b4de3af5cdebe0ee~mv2.png/v1/fill/w_916,h_305,al_c,q_85,enc_auto/8418d9_d00cbad1d09245b1b4de3af5cdebe0ee~mv2.png)
위의 내용은 밀 생산시 1ha당 예상되는 수입(Income)을 추정한 식이다. 생산 작물의 특성에 따라 수입의 규모와 계산식은 바뀌게 된다. 밀의 추정수입은 밀의 판매시 무게(수확 당시 수분을 함유한 무게가 아닌 건조 후 무게)로 수입의 규모가 결정되는 부분을 반영하였다. 즉, ⓐ부분을 보다 쉽게 설명하면, 건조 후 밀의 생산량은 1ha 당 6.6톤이고 가격은 톤당 330달러다. 그리고, ⓑ부분은 밀의 짚 역시 판매가 가능한데 1ha 당 100개의 짚더미 생산이 예상되고, 한 더미 당 가격은 1.5달러를 반영 하였다. 추가로 밀이 수확했을 때 무게는 1ha 당 7톤이고 건조 후 무게는 6.6톤이 적용되었는데, 이는 뉴질랜드에서 활용하고 있는 별도의 수확량 추정 계산식을 활용하여 나온 결과값을 반영한 것이다.
다음은 지출과 관련된 항목들을 정리한 내용이다.
![](https://static.wixstatic.com/media/8418d9_4e922c0011594edf90ca0f3b2a0f4478~mv2.png/v1/fill/w_833,h_665,al_c,q_90,enc_auto/8418d9_4e922c0011594edf90ca0f3b2a0f4478~mv2.png)
ⓐ는 씨를 뿌리기전 땅을 경작하는 단계의 활동과 비용을 반영하였다. ⓑ는 씨를 뿌리는 과정에 해당하는 활동과 비용이다. Seed(씨) 항목의 해당 씨앗 상품은 1톤당 895 달러이며, 파종하는데 1ha 당 0.175톤을 뿌린다는 것을 의미한다. ⓒ부분은 비료와 관련한 비용을 정리한 부분이며, ⓓ는 제초제 등 각종 농약에 대한 비용을 정리한 부분이다. ⓔ는 수확과 관련된 활동에 대한 비용을 정리한 부분이며, ⓕ부분은 기타 뉴질랜드 환경에 적용된 내용으로, 특별히 관심을 두지 않아도 되는 내용이다.
지금까지 밀 생산을 통한 수입과 지출에 대한 생산프로세스 정의 및 기초데이터 수집을 통해예측하기 위한 예상 수입 및 지출을 추정할 수 있는 자료를 완성하였으며, 이는 곧 총이익(Gross Margin)을 예측을 가능토록 한다.
![](https://static.wixstatic.com/media/8418d9_cc26cff933a845c2baa09086f721495c~mv2.png/v1/fill/w_980,h_121,al_c,q_85,usm_0.66_1.00_0.01,enc_auto/8418d9_cc26cff933a845c2baa09086f721495c~mv2.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