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gribusiness Modelling
Agribusiness는 단순히 agriculture의 한계를 넘어 철저히 비즈니스 관점에서 농업을 이해하고 설계하며 효율적인 supply chain을 기반으로 한 business model이 설계되어야 합니다. agribizLAB은 기획단계부터 함께 고민하고 답을 찾아갑니다.
농업은 1차산업(Primary Industry)의 중요한 근간을 이루며 생존과도 필연적인 산업이다. 아울러, 우리의 의지와 상관없이 주어진 땅과 기후라는 지원을 통해 인간의 생존을 유지할 수 있는 생존의 근간이기도 하다. 더불어 기후(Climate)라는 사람이 어찌할 수 없는 자연의 힘에 무기력하게 의지해야만 하는 산업이다. 아무리 토지가 비옥하고, 뿌려진 씨앗의 품질이 좋고, 퇴비와 비료가 우수하다고 하여도 결국 기후가 제대로 작물의 성장에 도움을 주지 않는다면, 작물(Crop)의 적정품질을 갖추기 위해 투입되는 비용은 증가할 것이며, 최악의 상황에는 비용은 비용대로 투입되고,상품은 시장에 맞는 적정한 품질을 갖추지 못해 시장성과 상품성을 모두 잃어버리는 단계에 다다를 수도 있다. 개인적으로 ‘농업은 하나님과 동업하는 사업’이라는 표현이 가장 정확한 표현이라고 생각한다.
Agribusiness라는 개념은 보다 구체적인고 현실적인 비즈니스의 개념이 포함된 농업이라 정의해도 무방하다. Agribusiness는 1957년 Goldberg 와 Davis에 의해 만들어진 개념으로 농화학, 사육, 재배, 유통, 농기계, 식품가공, 종자공급, 마케팅 그리고 소매에 이르기까지 Value Chain전반에 걸친 요소들을 비즈니스의 구성요소로 보는 개념이다 (Wikipedia, 2016). Agriculture 와 Agribusiness에 대한 개념적 차이에 대해 Lee, Jasper S는 1976년 버지니아 주 교육부등에서 후원한 연구자료에서 Agribusiness는 보다 구체적인 활동으로 Agriculture의 실질적 성패를 좌우하는 개념이라 제시하고 있다. 즉, 비즈니스로서의 활동과 생산활동의 구체적인 결합으로 재해셕이 가능하다. Agribusiness는 구체적인 아래의 활동들이 기본적으로 고려되는 개념이다.
► Agribusiness의 기본적 개념(Lee., 1976)
- 생산을 위한 투입자원(input)의 공급
∙ 관련 각종 상품의 조달
∙ 관련 각종 서비스의 조달
- 생산품 판매를 위한 전반적인 마케팅 활동
∙ 고객에게 판매하기 위한 제반 활동
위의 개념은 Agriculture라는 상위 개념과 상호 의존적인 개념이다. 위에서 언급한 “Inputs”이란 구체적으로 생산활동을 위해 농부에 의해 이용되어지는 Items들인데 비료(Fertiliser), 씨(Seeds), 사료(Feed), 연료(Fuel), 금융(Finance), 농약(Herbicide/Pesticide) 등이 해당된다.
마케팅에 있어서는 생산품이 시장에서 상품성을 갖추게 하기 위한 상품의 처리 및 가공, 포장, 가축의 도축방법 및 처리 등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 지는 사항이고, 상품 등급 부여, 저장, 팩키지, 운반, 가격결정 및 판매 등이 마케팅 개념의 범주 안에서 고려되어져야 하는 부분이다.
Agriculture라는 광범위하고 모호성을 갖은 개념이라면, Agribusiness는 실질적인 구체적이며, 농업을 기획하고 실행하는 모든 단계에 구체적인 개념을 제시하는 실질적인 사업으로서의 농업 기획을 가능하게 하는 개념이다.
이 책에서 Agribusiness 전반에 대해 고민하는 건 불가능하다. 우선 작물마다 재배에 필요한 시간, 시장의 규모, 계절에 특성에 따른 비용 등 너무나 많은 변수들이 다르게 적용이 되고, 그에 따른 생산 및 판매전략, 그리고 수익성 분석 및 계획 등이 수립되어야 한다. 하지만 무엇보다 비즈니스 관점의 농업이라면 수익성에 대한 정확한 분석이 사전에 충분히 고려되어야 하고, 그래야만 정확한 Cash flow예측 및 지속경영가능성 여부도 가늠해볼 수 있다. 따라서, 이책의 수익성 분석에 대한 기술적인 방법과 사례를 통해 Agriculture가 아닌 Agribusiness를 기획하는데 자기만의 도구를 설계할 수 있게 된다면 이 책의 목적을 100% 달성하게 되는 것이다.
-agribizLAB 공유지식 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