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gribusiness 특강 - 12
![](https://static.wixstatic.com/media/8418d9_5f7aeb0ae71d4f7294d1f68c6266e0b8~mv2.png/v1/fill/w_980,h_525,al_c,q_90,usm_0.66_1.00_0.01,enc_auto/8418d9_5f7aeb0ae71d4f7294d1f68c6266e0b8~mv2.png)
4.1. 매출총이익 분석(Gross Margin Analysis)이란?
여기서 말하는 매출총이익 분석이란 농작물별 생산과 판매에 따른 매출총이익을 분석하는 과정이다. 여러 작물을 생산하는 생산자에게 생산 작물별 매출총이익 분석은 다양한 작물 생산 계획을 통한 전반적인 매출총이익의 변화 예측이 가능하게 하며, 생산 작물별 생산과정에서 비용 절감이 기대되는 사항에 대한 개선 또는 생산 증대와 같은 중요한 변수의 검증에도 매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작물을 하나만 생산하든 여러 작물을 생산하든 그건 생산자의 의지에 달려 있다. 하지만, 농업을 단순히 취미로 하는 것이 아닌 비즈니스로서 농작물을 생산한다면, 당연히 투자대비 수익이 높은 생산전략을 찾는 것이 맞을 것이다.
매출총이익 분석의 궁극적인 목적은 현재 이익 규모가 과연 최선인지, 아니면 자원의 효율적 배분과 변화를 통해 더 이익을 현재보다 증대시킬 수 있는가에 대한 질문에서 시작된다. 농업은 여타 산업과 성격이 다르고, 무엇보다 주어진 자연환경을 최대한 이용하는 분야인 만큼 이익을 증대시키기 위한 전략도 다른 산업과 많이 다르다.
농업을 통한 이익 증대를 실현하기 위해 생산자가 쉽게 활용 가능한 자원 또는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은 농장(Farm Land), 작물(Crop)과 품종(Varieties), 계절성(Seasonality)를 우선 고려할 수 있다. 여기서 비료, 농약, 인건비 등 일반적인 지출사항은 이미 현금흐름 분석에서 언급하였으니 따로 하지는 않겠다.
∙ 농장(Farm Land)
여기서 농장의 의미는 정확히 경작지의 면적을 의미한다. 농장의 면적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활용하는가는 매우 중요한 농업의 기본전략이다. 7.5ha의 농장을 운영한다고 가정할 때 경작지에 하나의 농작물만 심는 경우와 전략적인 판단에 따라 다양한 농작물을 심는 경우, 이익은 농작물의 시장가격과 연동하여 변하게 되고, 총이익도 당연 차이를 나타낸다. 따라서, 농장의 면적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사용할 것인가에 대한 검토와 단기전략 또는 중/장기 전략이 필요하다.
∙ 작물(Crop)
재배 작물의 선택은 이익의 증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우리는 과거 사례에서 같은 작물이라도 시기에 따라 급격한 시장환경 변동으로 인해 생산자들의 희비가 엇갈리는 경우를 언론을 통해 접하는 경우가 적지 않게 있다. 따라서 작물의 선정도 농경지의 규모를 고려하여 적절한 포트폴리오 구성이 요구된다. 하나의 작물만 재배하는 경우도 있지만, 수확시기와 재배기간, 그리고 현금흐름 예측을 통한 유동성 현황을 반영하여 다양한 작물 재배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 품종(Variety)
같은 작물이라도 품종을 달리하여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재배전략도 가능하다. 예로 상추(lettuce)의 경우 다양한 품종이 존재하고, 품종별로 요리에 쓰이는 용도도 다양하다. 그리고 지리적 위치에 따라 국가별로 분포된 상추의 현황도 다양하게 나타난다 (Lebeda et al., 2001). 따라서, 품종별 특성을 재밸 포트폴리오에 반영한 이익증대 전략 수립이 가능하다.
∙ 계절성(Seasonality)
농작물별 수확시기가 있고 판매시기가 존재한다. 수확시기에 같은 생산품이 일시에 시장에 출하가 되면, 해당 농장물의 시장가격은 공급과잉으로 급격하게 하락할 수 있고, 이 경우 생산자들의 소득은 감소하게 된다. 아울러, 소비자 입장에서도 수확 농장물이 더 이상 시장에 공급되지 않으면 이내 가격은 공급감소로 인해 상승하게 되어 많은 구매비용을 부담해야 한다. 하지만, 수확시기와 상관없이 수확 후 상품의 품질이 유지 가능한 저장을 통해 출하량과 판매시기 조절이 가능하다면 생산자 입장에서는 장기간에 걸쳐 안정적인 매출을 거둘 수 있고, 소비자는 오랜 기간 해당 농산물을 즐길 수 있다. 특히, 계절성이 중요한 이유는 농산물은 시간이 지나면 신선도가 떨어지고 상하게 되어 시장가치가 지속되지 않고 사라지는 상품(Perishable Products)이라는 점이다. 따라서, 농산물 생산시점의 신선도와 최상의 품질을 바탕으로 한 생산품의 시장 가치를 오래 유지하는 방안은 지속적으로 고민되고 개발되어야 한다.
매출총이익 분석과 관련하여 효과적인 지식전달을 위해 가상의 뉴질랜드 북섬에 위치한 농장의 생산현황 분석 및 개선방안 도출 사례를 소개한다.
(다음주에 계속됩니다.)
References
Lebeda, A., Doležalová, I., Křístková, E., & Mieslerová, B. (2001). Biodiversity and ecogeography of wild Lactuca spp. in some European countries. Genetic Resources and Crop Evolution, 48(2), 153-164.
![](https://static.wixstatic.com/media/8418d9_cc26cff933a845c2baa09086f721495c~mv2.png/v1/fill/w_980,h_121,al_c,q_85,usm_0.66_1.00_0.01,enc_auto/8418d9_cc26cff933a845c2baa09086f721495c~mv2.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