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gribusiness 특강 - 3
1.3. Agribusiness 준비를 위한 점검사항
이 강의 자료를 읽는 독자가 본 자료를 읽게 된 동기는 농업 Start-up을 준비하거나, 혹은 고민 중이거나, 아니면 현재 농산품 생산자 또는 관련 Supply Chain 관련 업에 종사하면서 수익성을 개선해 볼 아이디어를 찾고 싶은 바램이 있기 때문일 거라 조심스럽게 짐작한다. 물론 위에 언급한 경우와는 상관없을 수도 있다. 여하튼, 농업이라는 분야가 친숙하고 누구나 쉽게 접근하기 쉬운 것처럼 생각이 들지는 모르지만 막상 농업을 준비하겠노라고 고민하기 시작한다면 초반에 막연함을 느낄 수 밖에 없을 것이다. 따라서 먼저 과연 농업을 할 준비가 나는 되어 있는지 명확하게 확인하고 계획을 정리하는 것이 막연함을 제거하고 보다 계획을 준비하고 구체적인 방향을 설정하는 시작점일 것이다.
► Agribusiness를 위한 4대 요소 점검
비즈니스를 위한 기본적인 요소가 있다. 3대 요소로 분류하기도 하며, 4대 요소로 분류하기도 한다. 3대요소는 토지(Land), 노동력(Labour), 자본(Capital)이라고 하며, 4대요소는 3대요소에 경영(Management)을 포함한다. 하지만 비즈니스 관점에서 경영은 매우 중요한 사항으로 agribusiness를 준비한다면 당연 4대 요소인 토지(Land), 노동력(Labour), 자본(Capital) 그리고 경영(Management) 에 대한 객관전인 현실 점검이 필요하다. 부족한 것들은 보완하고 대책을 마련하여 실패에 대한 위험(Risk)의 최소화가 가능할 것이다.
다음은 비즈니스 자원 4대 요소를 점검하기 위한 체크리스트이다. 해당 체크리스트를 참고하여 스스로 점검해 보길 바란다.
위에 정리된 체크리스트는 가장 기본전인 사항들이다. 체크리스트에 대한 질문에 하나하나 답을 정리하다 보면 내가 부족한 부분을 보다 쉽게 찾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그리고 체크리스트의 질문에 대한 답변 내용들을 깔끔하고 정확하게 엑셀과 같은 스프레드시트(Spread sheet)에 정리하고 언제든지 업데이트할 수 있게 준비해 놓자. 다음에 이어질 Cash flow 및 수익성 분석에 아주 중요한 기초데이터로 활용이 된다.
수익성 분석과 관련하여 위 체크리스트 중 토지(Land)와 관련한 체크리스트 항목이 수익성에 영향을 미치는 이유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토지(Land)
∙ 작물의 선정
작물의 선정이 수익성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변수다. 어떤 작물을 선정하느냐에 따라 시장의 가격변동, 부가가치, Supply Chain의 구성, 필요 투입자원(inputs), 비용규모 및 항목 등 거의 모든 항목이 영향을 받게 된다.
∙ 토지의 면적
토지의 면적은 곧 생산량과도 관계가 있으면서, 생산을 위해 필요한 각종 투입자원(inputs)의 양을 결정하게 된다. 당연 토지의 면적이 클수록 생산량도 늘어나겠지만, 퇴비와 비료, 각종 제초제 및 살충제 등의 투입비용도 증가하게 된다.
∙ 물 공급(Irrigation)
농작물의 생산에 있어 물은 당연히 매우 중요한 요소다. 비가 적절이 내린다면 정말 감사한 일이지만, 때론 적은 강수량과 가뭄은 작물품질의 저하원인이 되며, 시장성 상실로 인해 기대수익에 미치지 못하게 된다. 그렇기에 물 공급에 대한 철저한 계획은 마련되어 있어야 하며, 농지에 따라서 물 공급을 위해 막대한 비용을 지불해야 하는 경우도 있고, 물 공급을 전적으로 자연에 의존해야만 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선정하고자 하는 농지의 물 공급 계획에 대한 검토가 사전에 이루어져야 하며, 반드시 비상계획(Contingent Plan)에 포함하여 비상시 물 공급을 위한 매뉴얼을 마련해 놓을 것을 권한다.
∙ 농지의 차량 접근 용이성
농지를 임대하는 경우 재배 농작물에 따라 차량 또는 기계를 이용한 운반이 반드시 필요한 경우가 있다. 때론 농지임대료가 저렴하다는 이유만으로 임대를 추진한다면 곤란한 경우가 생길 수 있으니, 차량의 접근 가능성에 대해 충분히 점검하고, 재배 품종과 연계해서 검토해야 함을 잊지 말아야 한다. 현재 농지가격은 한국농어촌공사의‘농지은행(www.fbo.or.kr)’에서 해당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위에 언급한 사항들은 토지와 관련한 일부 대표적인 것들만을 언급했다. 하지만, 기본적인 비즈니스 자원 4대요소 중 위에 언급한 것 이외에 개별적인 항목들이 존재할 수 있으니, 사업계획 단계부터 철저히 확인하고 검증하는 과정은 반드시 거쳐야 한다.